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먼저 온 통일 │ 통일맞이 하나~다섯 운동 현장 탐방

‘통일’의 열매가 영글어가는 텃밭 멘토링 현장을 가다 송파구협의회 & 광명시 협의회

“아유~ 이 거봐. 깡냉이… 아니 옥수수는 엄청 잘 자라는데, 콩은 물을 안줬더니 벌써 시들었어. 다음에는 좀 더 자주 와야겠어. 방울토마토는 다음 주에 오면 빨갛게 익을 것 같아. 안돼, 안돼, 거기 밟지 마. 거긴 흰꽃민들레를 심었어.”

옥수수 가지 오이 쑥갓 강낭콩 토마토 부추 등 자그마한 텃밭에 무려 12가지 작물을 심어놓고, 쑥쑥 커가는 모습을 지켜보던 북한이탈주민의 말이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송파구협의회가 북한이탈주민과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주말농장에서 통일시대시민교실을 열던 날, ‘통일의 꿈’이 쑥쑥 자라고 있는 통일텃밭을 찾았다. 이와 함께 북한이탈주민들에게 4년째 땅을 무상으로 임대해 텃밭을 일구도록 돕고 있는 광명시협의회 박종덕 회장도 만나봤다.

옥수수 가지 오이 쑥갓 강낭콩 토마토 부추 등 자그마한 텃밭에 무려 12가지 작물을 심어놓고, 쑥쑥 커가는 모습을 지켜보던 북한이탈주민의 말이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송파구협의회가 북한이탈주민과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주말농장에서 통일시대시민교실을 열던 날, ‘통일의 꿈’이 쑥쑥 자라고 있는 통일텃밭을 찾았다. 이와 함께 북한이탈주민들에게 4년째 땅을 무상으로 임대해 텃밭을 일구도록 돕고 있는 광명시협의회 박종덕 회장도 만나봤다.

'통일 텃밭'에서 통일시대시민교실 여는 송파구협의회

“북한이탈주민과 만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이 텃밭을 매개로 소통의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이 분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돕는 것이 바로 통일에 이르는 길이라고 생각해, 2010년부터 통일 텃밭을 운영해왔습니다.”
송파구협의회 윤오현 회장의 말이다. 윤 회장이 잠시 자리를 비운 2년여 동안은 텃밭 운영이 주춤했지만 지금은 60여 개의 텃밭 가득 푸릇푸릇 채소가 자라고 열매가 맺히는 등 통일 텃밭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올해는 북한이탈주민 30명과 자문위원 30명이 1:1멘토링을 맺고, 한 달에 두어 번 자문위원들이 막걸리와 삼겹살 등 먹거리를 가져와 갓 수확한 쌈채소에 싸서 먹으며 만남의 장을 갖고 있다.

“텃밭 가꾸면서 우울증이 사라졌어요”

북한이탈주민이 수확한 상추를 자문위원에게 나눠주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집에만 있으면 두고 온 가족들 생각에 우울한데, 여기 나와 일을 하면 우울증이 없어진다고들 이야기 해요.”
윤오현 회장의 말처럼, 정경희씨(탈북강사)는 텃밭 멘토링에 참여하면서부터 자신을 비롯한 동료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적잖은 변화가 있었다고 말한다.
“통일 텃밭이라는 말이 너무 좋아요. 우리 북한 사람들은 육체적 고통보다 마음의 상처가 큰데, 어디 가서 말을 못해요. 저도 우울증이 심하게 와서 바깥출입을 못할 때도 있었어요. 집에 가만히 있다가 눈물이 날 때면, 자전거를 타고 밭에 와서 곡식과 대화를 해요. 그러다 보면 마음이 안정되거든요.”

처음 동료들에게 주말농장에 가자고 권했을 때만 해도 “북한에서 죽게 고생했는데 왜 또 고생해?”라는 말을 들었다는 정 씨.
“그런데 직접 해보니까 동료들이 ‘어? 재미있네?’ 그래요. 취미삼아 하니까 너무 흥이 나고… 저번엔 삼겹살 파티를 했는데, ‘요거 드시오 저거 드시오’ 하니깐 한 집안처럼 보여요. 다음번엔 가야겠네’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고요.”

“텃밭 가꾸고 북한이탈주민과도 대화, 일석이조”

자문위원들도 북한이탈주민과 함께 하는 텃밭 멘토링에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3년째 참여하고 있다는 이상선 위원은 “올해 특히 북한이탈주민이 많이 참석했는데, 그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근황도 알게 돼서 좋고, 오늘 통일시대 시민교실 강의도 많이 오신 것 같다”고 말했다.

“케일은 벌레가 제일 잘 먹어. 미나리는 번식력이 좋고…. 이건 참왼데 씨가 왕창 남기에 한꺼번에 뿌려 놨어. 모종하실 분들 모종 드릴려고… 이거 가지고 인심 좀 쓸려고.”
초창기부터 텃밭에 참여했다는 홍순애 위원은 윤오현 회장의 통일텃밭사랑이 대단하다며, 북한이탈주민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게 잘 도와주더라’는 말들을 전해올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자문위원 통일텃밭의 ‘텃밭장’을 맡아 모든 일을 솔선수범 도와주는 홍순애 감사는 “오늘까지 상추를 세 번정도 수확했는데, 북한이탈주민들과 같이 하다 보니 이웃처럼 지낼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들이 오히려 더 잘기르는 것 같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통일 텃밭에서 열린 과정형 통일시대시민교실

오후 3시부터 통일 텃밭에서는 과정형 통일시대시민교실 두 번째 행사가 열렸다. 이곳 주말농장에는 500구좌의 주말농장이 있는데, 일반시민 500명 정도가 주말마다 텃밭을 찾는다고 한다. 윤오현 회장은 “자문위원들의 경우 통일강의를 들을 기회가 많지만, 일반 시민들은 기회가 없기 때문에 가을강좌 때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계획중”이라고 말했다.

박종실 간사의 사회로 진행된 통일시대시민교실 행사에서는 탈북강사 정경희 씨의 ‘내가 본 대한민국과 북한실상’ 강의와 동국대 김용현 교수의 ‘최근 북한정세의 변화와 남북관계’ 강의가 진행됐다. 먼저 자신을 ‘13번 텃밭주인’이라고 소개한 정경희 씨는 “텃밭에 채소를 열심히 심었는데 마음대로 가져가도 돈 안 받겠다”며 농담을 건넸다. 또한 “윗동네 함북도의 제일 추운 고장에서 왔기 때문에 사투리가 심하다”고 양해를 구한 뒤, 북한에서의 생활과 남한으로 오기까지의 과정 등을 설명했으며 강의 후 질문에 일일이 답을 해주었다.
탈북강사 정경희씨가 강의를 하고 있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가 강의를 하고 있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민주평통 상임위원)는 자문위원, 북한이탈주민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정해진 시간보다 오래 강의를 진행했다. 그는 “시민교실 장소가 텃밭인 것을 알고 놀랐다”며 “농번기 때는 시골집에 내려가 일을 해왔는데 마치 시골집에 온 것 같아 기분좋다”고 말했다. 위원들은 북한의 식량사정, 통일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관심정도, 남한주민에 대한 생각, 통일 가능성, 북한의 핵무기 등 여러 가지를 질문했고 김 교수는 이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주었다.
한편, 이날 김용현 교수의 강의를 듣기 위해 일부러 나왔다는 이준 자문위원(15~16기, 2000년 탈북)은 “과장되지 않게 현실적으로 말씀해주신 것 같다”며 강의에 만족한 모습을 보였다.

송파구협의회 윤오현 회장의 '통일텃밭 사랑'

공감인터뷰 ② 문 해 강(필라델피아협의회 간사) “차세대 육성과 통일여론 확산에 주력하겠습니다”

북한이탈주민 사랑의 텃밭 가꾸기 4년째 추진중인 광명시협의회

경기도 광명시협의회의 ‘북한이탈주민 사랑의 텃밭 가꾸기’ 사업은 박종덕 회장이 무상으로 임대해준 2,413㎡(약 730평)의 농장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이 자신의 텃밭을 일구는 사업이다. 지난 2011년 북한이탈주민 30가구가 참여한데 이어 올해는 50명(북한이탈주민 35명, 자문위원 5명, 경찰서관계자 10명)이 동참했다. 지난 4월 23일에는 희망 이탈주민 50가구 중 35가구를 추첨해서 텃밭 배정과 작물 선정을 마쳤다.

“요즘엔 서로 하겠다는 북한이탈주민들 많아져”

‘북한이탈주민 사랑의 텃밭 가꾸기’은 어찌 보면 박종덕 회장이 무상임대로 농지를 기부한 데서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서울 근교에 있는 농지를 선뜻 내놓는 일이 쉽지만은 않았을 것 같아 그 이유를 물었다.
“14기부터 민주평통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통일이나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제가 경영하던 회사에서도 이 분들을 고용하며 만나다보니 자연스럽게 이뤄진 일입니다.”
민주평통자문위원

광명시협의회 박종덕 회장 광명시협의회는 북한이탈주민 한 가구당 농지 20평 씩을 나눠주고, 씨앗이나 밭갈이 등은 시와 경찰서로부터 지원을 받아 해준다. 이들 가운데 솜씨좋은 사람은 수확한 작물을 장에 내다 팔기도 하고, 감사의 표시로 수확한 농작물을 자꾸 가져다주는가 하면, 요즘에는 서로 텃밭을 달라고 하는 북한이탈주민들도 많아졌다.
“비용이 좀 들긴 했지만, 북한이탈주민들이 자녀들을 데리고 와서 함께 일구고 먹고 하는 걸 보면 상당히 보람돼요.”

또한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우 신변보호를 위해 경찰서 관계자들과 늘 가까이 있는 점을 감안, 경찰서에도 텃밭을 배정해서 함께 농사를 짓도록 했더니 분위기도 좋아지고 사이도 더 친밀해졌다고 한다.
텃밭을 일구면서 일어난 변화에 대해 묻자 박종덕 회장은 “관계가 가까워지긴 했지만, 매일 만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그리고는 “서로 문자를 주고 받거나 대화하는 것, 이처럼 눈에 안 보이게 왔다갔다하는 게 바로 남는 것”이라며 껄껄 웃는다.

“모래에 물 스미듯이 자연스럽게 스밀 수 있어야”

박종덕 회장은 탈북민 등이 남한사회에 ‘모래에 물 스미듯이 자연스럽게 스며야’ 되는데 ‘북한이탈주민’ ‘탈북자’라는 호칭부터가 걸린다며, 광명시협의회에서는 ‘새친구’라는 말을 쓴다고 했다.
“남북한 체제가 통합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을 이루려면 북한 주민들의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이 변화는 남쪽 북한이탈주민들의 입으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해요. 남한에서는 얼마든지 잘 살 수 있고 발전할 기회가 있다는 것을 자꾸 알려주어야 합니다.”

특히 의식주의 범주에서 벗어나 남한의 정서와 문화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음악, 영화, 스마트폰 등 문화·생활적인 측면에서도 많이 대화하고, 여행을 가더라도 좋은 곳, 좋은 식사를 대접해야 한다는 것.
“역효과가 날 바에야 안 하는 게 나아요. 쌀 한 포대 주려고 경찰서에 모이라고 하지 말고, 차라리 직접 갖다 주세요. 여행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자문위원들은 덜 먹고 안 좋은 곳에서 자도 괜찮아요. 하지만 북한이탈주민들은 좋은 곳을 보고 좋은 음식을 먹어봐야 잘 살아보겠다는 욕심도 나지 않겠어요? 그 분들이 가자고 해서 간 것도 아니고, 우리가 초청을 했으면 그만한 대우를 해줘야지요.”
박종덕 회장 그렇다고 해서 ‘북한이탈주민이니까 마냥 배려해야 한다’는 생각도 옳지 않다고 말한다. ‘남한에서는 노력하지 않으면 못 먹고 못 산다’고 강조하며 가감 없이 현실 그대로를 적나라하게 이야기해줘야 한다는 것. 박종덕 회장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잘 살 수 있도록, ‘부자’도 만들어주고 이들이 어떻게 노력해서 부자가 됐는지도 보여주고 싶다고 했다.
“지금 2만6천 명에 이르는 북한이탈주민들이 20만, 40만 명이 될 때 비로소 통일이 가까워질 것입니다. 이들을 통일의 역군으로 만든다, 통일비용이다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돕고 싶습니다.”

텃밭

<글. 기자희 / 사진. 송파구협의회 김승훈 위원, 광명시협의회>

통일시대 모바일 통일시대 홈 모바일 홈 모바일 자문회의소개 자문회의소개

동영상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16기 해외지역회의(미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미국지역 제16기 해외지역회의

이벤트

다시 보고 미리 보는 통일골든벨! Quiz

통일, 준비 됐나요?

  • 유익하고 재미있는 기사를 뽑아주세요
  • 행복한 대한민국을 여는 정부 3.0 서비스 정부

이벤트 당첨자 발표

통일골든벨퀴즈 당첨자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