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즐거움을 만나다 | History

인쇄하기 확대 base 축소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함께 찾아온 것은 또 다른 외국군이었다.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공산진영과 자유진영이 나뉘면서 철도도 맥을 못 추게 되었다. 남북은 서로에게 등을 돌린 채 철길을 막아 놨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소련제 탱크를 앞세운 인민군이 밀고 내려왔다. 그 소식을 가장 먼저 전한 것은 철도전화였다고 한다. 당시 전국적인 통신망을 가장 잘 갖춘 곳은 철도였다. 각 역과 철도국을 이어주는 ‘사령전화’라고 불리는 연락수단을 통해 생생한 전쟁상황이 보고됐고 작전명령이 하달됐다. 전쟁 당시 철도원의 신분은 군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전쟁이 치러지는 동안, 철도원은 전황에 따라 남북을 오가며 때로는 군인을, 때로는 보급품을, 때로는 피난민을 실어 날라야 했다.



1953년 7월 27일, 긴 전쟁 끝에 155마일의 휴전선이 그어지고, 그 남북으로 약 2km의 거리를 두고 북방한계선과 남방한계선이 생겼다. 그곳을 우리는 비무장지대라고 부른다. 그런데 그 비무장지대에 증기기관차가 한 대 남겨졌다. ‘마터’형이라고 부르는, 주로 한반도 북쪽 산악지대에서 많이 사용하던 기종이다.

경의선 장단역 구내에 증기기관차가 남게 된 사연은 이렇다. 1950년 12월 말, 군수물자를 싣고 개성을 떠나 북으로 향하던 한준기 기관사는 중공군에 밀려 후퇴명령을 받는다. 상황이 바뀐 것이다. 급히 기관차를 끌고 도착한 곳이 장단역이었다. 그런데 상황이 더 급박해지자, 적군에게 탈취될 것을 우려한 미군에 의해 기관차는 총탄세례를 받는다.

2006년 5월,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을 앞두고 선로점검이 실시됐다. 당시 코레일 사장 및 선로담담 책임자를 포함한 소수인원이 군부대의 안내를 받으며 비무장지대로 들어섰다.
여기저기서 꿩이 날고 고라니가 뛰었다. 더 이상 걸어서 들어갈 수 없는 마지막 부분, 되돌아 나와야 할 그곳에 증기기관차가 우뚝 서 있었다. 정말 심장이 멎는 줄 알았다. 55년 넘도록 비바람을 맞으며 찢겨진 땅을 지켜온 증기기관차가 내 앞에 서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념촬영을 하려는데 구렁이가 한 마리 보였다. 따스한 5월의 햇볕을 즐기고 있는 중이었던 것 같다. 업구렁이……. 옛날 초가집이나 기와집엔 쥐나 지네, 벌레가 많아서 그런 것들을 잡아먹고 사는 구렁이가 있었다.
사람들은 그런 구렁이를 귀하게 여겨 업구렁이라고 부르며 해치지 않았다. 구렁이는 꽤 가까이 다가간 내게 아무런 관심이 없었다. 그저 희랍의 어느 철학자가 그랬듯이 일광욕을 방해하지 말아달라는 것 같았다.

2006년 11월 20일, 그 증기기관차는 보존처리를 위해 임진각으로 옮겨졌다. 더 이상의 부식과 훼손을 막고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기 위한 준비과정이었다. 난 한걸음에 달려가 책임자에게 구렁이의 안부를 먼저 물었다. 그 분은 정말 어이없다는 표정을 지으셨다가, 내가 준비해간 사진을 보여드리자 그 때서야 고개를 끄덕였다. 하지만 기관차 이전과정에서 구렁이는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보존처리를 위해 내부를 샅샅이 살펴봤는데, 뱀허물도 하나 없었다고 한다.

2007년 5월 17일,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시험운행 행사가 드디어 열렸다. 난 정말 운 좋게도 경의선 방북단 100명에 뽑혀 개성에 다녀올 수 있었다. 리영희, 백낙청, 강만길, 고은……. 유명인사는 또 있었다. 경의선 마지막 기관사 한준기 옹! 비록 자신이 직접 조종하는 열차는 아니었지만, 살아생전 기차를 타고 다시 개성 땅을 밟는 감격에 눈물을 흘리셨다. 개성에서의 행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 개성역을 떠나기 직전 북쪽 역무원의 손을 잡고 자신이 경의선 마지막 기관사임을 밝히자 북쪽 역무원이 말했다.

“꼭 다시 오시라요.”

잡은 손을 놓지 못하던 한준기 옹, 자신이 몰고 온 분단의 상징 장단역 증기기관차가 보존처리를 마치고 임진각 독개다리에 전시되던 날 다시 임진각을 찾으셔서 60년 가까이 된 옛날 이야기를 마치 어제 이야기를 하듯 들려주시더니, 결국 통일을 보지 못하고 2011년 10월 15일 하늘의 부르심을 받았다.

2013년 9월 18일, 한국철도가 114년을 맞았다. 인프라는 가치중립이라는 말도 있지만 누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일제강점기 철도는 민족자본을 빨아먹는 빨대였으며 한반도를 병참기지로 만드는 수단이었다.

그러나 우리가 꿈꾸는 남북을 잇는 철도는 어느 한 쪽만을 위하거나 어느 한 쪽을 망하게 하는 철도가 아니다. 부산과 광양항을 통해 들어온 해외물자와 국내물자가 철길을 타고 한반도를 지나 대륙으로 이어지면, 지금까지의 해운을 통한 수송보다 더 빠르고, 더 싸고, 더 안전하게 물류수송이 가능하게 된다. 북한의 입장에서는 통과하는 컨테이너당 통행료만 받아도 막대한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것이다. 물론 그 전에 준비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지만 하나하나 쉬운 것부터 풀어나가면 불가능할 것도 없다. 실현 가능한 비전인 것이다.

지금도 임진각 독개다리 위엔 분단의 상징이었던 장단역 증기기관차(등록문화재 제78호)가 서있다. 이 기관차를 보면 개성역 직원의 “꼭 다시 오시라”는 말에 잡은 손을 놓지 못하던 한준기 옹이 생각난다. 그리고 5월의 햇볕을 쬐면서 기관차를 지키던 구렁이 또한 잊을 수 없다. 그 구렁이는 지금쯤 어디서 무엇을 지키고 있을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