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e 행복한 통일

Webzine Vol.38 | 2016.03

e 행복한 통일

vol 38 | 2016.03

전체메뉴 SEARCH

통일스토리 | 통일 Talk

남북한 주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을 하고 싶어요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생 '평화예술제' 참가 후기

지난 해 광복70주년 기념‘평화예술제’ 공연에 나섰던 한국종합예술학교(이하 한예종) 예능계 학생들. 
학교 측의 제의로 ‘그냥 공연’을 했을 뿐인데 그 과정에서 사람들 마음 속에 메아리치는 강한 통일의 염원과 열망을 읽을 수 있었다. 또한 남북한 주민 모두가 오랜시절 즐겨 부르던 애창곡을 모티브로 공연을 선보이면서 남북한은 하나의 문화를 공유하는 하나의 민족이라는 것, 그래서 앞으로도 하나여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고 했다.

통일토크참가자들

‘그냥 공연’을 하러 갔는데 ‘통일’과 만났어요!

진호 : 저는 작년 8월에 열린 1차 평화예술제에 참가했어요. 휴전선 서북단에서 동북단을 따라 강화, 고성, 철원에서 열린 공연이었는데 마지막날 철원군 노동당사 앞에서 열린 ‘평화기원제’에서 남북의 만남을 묘사한 줄타기 퍼포먼스를 했죠.

은지, 모은 : 우린 ‘겨레가 함께 부르는 노래 100곡’을 고성과 속초에서 한예종 재학·졸업생, 실향민, 북한이탈주민, 지역주민과 함께 부르는 2차 평화예술제에 참가했어요. 남북한 애창곡은 ‘반달’이나 ‘고향의 봄’과 같은 동요에서부터 ‘밀양아리랑’ 같은 민요, ‘눈물 젖은 두만강’ 같은 대중가요까지 우리에게 익숙한 노래들이에요. 저희 팀은 그중에서 고성지역 학생들과 동요를 함께 불렀고, 북한 아이들도 아는 전래동화 ‘방귀쟁이 며느리 이야기’로 공연도 했어요.

공연중인 유진호 학생

가빈 : 저는 공연팀이 아니라 스태프로 참가했어요. 실향민분들을 안내해 자리로 모시는 일을 맡았는데 사이드에서 관객들의 반응을 지켜보니 엄청 우시더라고요. 특히 노래공연을 하거나 관현악 연주가 나올 때 막 우셨어요. 개막식 때 안내해드렸던 몇몇 어르신들은 폐막식 때 제 얼굴을 알아보시고는 딸처럼 살갑게 대해주셔서 좋았어요.

공연을 지켜보는 실향민들 은지 : 아 우리가 아는 노래를 북한에서도 부르겠구나’ 하는 생각에 뭉클하신 것 같아요. 저희도 놀랐거든요. 곡명을 보니 ‘퐁당퐁당’이란 노래도 있고, ‘아버지는 나귀타고 장에 가시고’로 시작하는 ‘맴맴’ 노래도 있는 거예요. 이런 노래를 북한 아이들도 알고 있는 줄 몰랐죠. 인근 초등학교 측에 부탁해서 학생들을 즉석으로 섭외했고, 함께 노래를 부르며 고무줄놀이를 하는 정겨운 장면을 연출한 것도 의미가 있었던 것 같아요.

‘우리는 하나의 민족’ 공연 통해 느꼈어요!

진호 : 공연 중 당혹스러웠던 순간도 있었어요. 통일 관련 홀로그램이 상영되고 그 앞에서 제가 줄을 타면서 남북이 하나로 이어지는 퍼포먼스를 펼칠 계획이었는데, 홀로그램을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였는지 조명이 저를 안 비춰주는 거예요. 저녁 공연이라 조명이 없으면 줄이 안보여 위험하거든요. 마이크는 안 차고 올라갔지, 음악은 계속 흘러가지. 나중에 조명이 켜져서 건너긴 했는데 아찔했어요. 그래도 관객이 많이 오셨고 되게 좋아해주셔서 의미가 있었어요.

통일토크참가자들 은지 : 연출하는 입장에서는 많은 아이들이 다 같이 목청 높여서 노래를 불렀다는 게 좋았고, 그래서 더 힘을 많이 낼 수 있었어요. 실향민분들은 통일에 대한 염원이 강하시겠지만, 아이들은 다르잖아요. ‘이건 통일과 관련된 노래야’라고 하면 잘 이해하지 못해요. 하지만 ‘이 노랜 북한 아이들도 부르는 노래야. 언젠가는 시간이 흘러서 같이 부르면 참 좋겠다’고 말 해주면 금방 알 거예요.

가빈 : 폐막식 때 평양예술단과 한예종의 한국무용 전공 학생들이 콜라보레이션 공연을 했는데, 쉽게 금방 안무를 맞췄다고 하더라고요. 우리 민족도 하나고 전통 무용의 뿌리도 같으니까 금방 조화를 이룰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진호 : 사실 저는 ‘통일’을 위해서라기보다는 교수님의 권유를 받고 참가했었어요. 그런데 막상 가서 보니 느낌이 다르더라고요. 첫날 강화 통일전망대에서 공연을 했는데 바로 앞에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북한 땅이 있고 망원경으로 보니 밭일하는 사람, 자전거 타고 가는 사람도 보였어요. 우리가 부르는 아리랑이 북녘 땅까지 들리게 하고 싶었지만 들리지 않았겠죠, 아마. 뭔가 우리가 실제로 할 수 있는 게 없단 생각에 안타까웠어요.

가빈 : 이산가족 상봉 장면을 보면 그렇게 슬플 수가 없어요. 볼 때마다 울거든요. 그런 이산가족들도 이젠 많이 돌아가셨다고 들었는데 저는 이런 공연을 통해서 통일에 대한 바람이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모은 : 가장 부드러우면서 가장 강력한 방법이 바로 문화인 것 같아요. 청년세대는 물론이고 어린 친구들까지 ‘우린 하나였다’는 것을 계속 일깨워주는 작업을 해나간다면 북한을 잘 모르는 어린 친구들도 통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될 것 같아요. 기성세대 역시 분단이 오래 이어지면서 트라우마들이 엄청 잠재돼 있는데 자꾸 꺼내서 나누고 즐거워하며 해소해야 좋아질 것 같아요. 그런 믿음이 있고 그런 것에 기여하고 싶어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예술가가 될래요!

가빈 : 그런데, 북한에도 줄타기가 있지 않나요? 줄타기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재이기도 하니까 통일이 되면 전통연희 전공자들은 더 좋을 것 같아요.

통일토크 참가자들 진호 : 북한 줄타기 공연은 동영상으로만 봤어요. 저희 과에서 우스갯소리로 ‘통일되면 전통하는 사람들은 직업을 바꿔야 한다’는 말을 해요. 거기는 어렸을 때부터 고된 훈련을 받으며 기술을 마스터할 것 같아서요. 하지만 제가 하는 남사당 줄타기랑 북한식 줄타기 기술이 합쳐진다면 전통문화도 더 풍부해지고 그 힘도 더 강해질 거란 생각은 해요. 저는 현재 친구들과 국악 팀을 만들어서 공연을 다니고 있는데 목표는 해외진출이에요. 한국적인 문화를 종합적으로 해외에 소개시켜주는 팀 같은 거죠.

가빈 : 저도 사실 국제무대에 진출한 경험이 있어요.(웃음) 스턴트 일을 하면서 프로레슬링을 배웠는데 선수제의를 받고 국제대회에도 나갔어요. 한일전을 했을 땐 난리도 아니었죠. ‘스타킹’프로그램에도 몇 번 나왔고요. ‘이러다 정말 배우의 길을 포기하고 프로레슬러의 길을 걷게 되는 것 아닐까’란 생각에 과감하게 그만두고 뒤늦게 한예종에 입학했고 올해 졸업해서 연극을 열심히 하고 있어요. 앞으로도 평생 연극을 하며 사는 게 제 꿈이에요.

모은 : ‘모든 창조적 자기표현이 목표하는 바는 인간의 마음에 가 닿아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라는 말이 있어요. 그래서 공연이 좋은 것 같아요. 사람들의 감성 깊은 곳까지 건드릴 수 있는 존재가 바로 공연 배우니까요. 저 역시 끊임없이 고민하고 질문하고 탐구하면서 만든 작품들이 사람들에게 닿아서 아주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변화를 일으키기를 바라요.

은지 : 학교 다닐 때는 큰 극장에서 공연을 해서 스펙을 쌓고 유명해지는 게 목표였지만 사실 큰 무대에서 조명을 받으면 그 조명 때문에 관객이 잘 안 보여요. 하지만 찾아가는 문화행사를 시작하고부터 객석이 무대와 가까우니 아이들의 눈빛과 표정을 그대로 느낄 수 있어 무대에 서는 일이 더 행복해졌어요. 북한의 아이들도 마찬가지겠죠. 올해는 춘향이 심청이 팥쥐가 함께 나와서 이야기를 나누는 창작 작품을 선보이고 있는데 북한 아이들도 춘향전 심청전은 알 거잖아요. 북한 어린이 친구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궁금해요. 평소 통일에 대해 별로 생각해 본 적도 없고 정치적인 문제일 뿐이란 생각을 했는데, 평화예술제를 다녀와서 좀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보게 돼요. 남과 북은 한 민족이라는 공통성이 있으니까 노래로, 공연으로 하나가 될 수 있단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글.사진 / 기자희, 신재환 공연전문 사진작가>

※ 웹진 <e-행복한통일>에 게재된 내용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의 견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프린트하기

이번호 전체 기사 보기 기사발행 : 2016-03-09 / 제38호

함께해요! 이벤트

이벤트 ① 이벤트 ① > 다 함께 통일나무를 심어봐요!
이벤트 ② 이벤트 ② > 통일 새싹을 찾아보세요
이벤트 당선작 이벤트 당선작 > 이벤트 당선작
민주평통 앱 설치 이벤트
댓글 이벤트
웹진앱을 설치해보세요! 웹진 이용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