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공감을 나누다 | 통일 공감 토크③

인쇄하기 확대 base 축소
북한이탈주민 대안학교 ‘한꿈학교’ 멘토링 후기
지난 여름 선교사님의 소개로 의정부 어느 지하상가에 위치한 북한이탈주민대안학교 ‘한꿈학교’에서 멘토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학생들은 미아역 부근의 빌라를 기숙사 삼아 생활하며 버스를 타고 지하철로 환승하고 또 버스로 환승하여 통학했다. 북한이탈주민 친구 대부분은 나와 두 살 이상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9월에 치를 검정고시에 대비하기 위해 그 먼 길을 아침저녁으로 반복해서 다녔다.

나도 기숙사에서 함께 생활했는데 한 여름, 너무 높은 곳에 있는 기숙사를
오르락내리락 하는 일이나, 통근시간에 마을버스의 에어컨이 잘 나오지
않았던 일 등 죽을 맛이었지만 견디었다.
그래도 딱 하나, 제일 좋았던 것은 북에서 못 먹다 온 친구들이니 밥은 잘
먹여야 한다는 교장선생님의 훈훈한 마음에 따라, 적십자 자원봉사
아주머니들도 음식솜씨를 제대로 발휘해 맛있는 음식이 나왔다는 것이었다.

사흘 정도 지나 차츰 환경에 적응이 되갈 때쯤 무언가 이 학교에는 어색하고
이상한 점들이 보였다. 밥은 정말 맛있는데 잘 안 먹는 친구들이 많았고,
무엇을 하고 싶으냐고 물어보면 빨리 취업해서 돈 벌고 싶다는 친구들이
대부분인데, 막상 옷이나 소지품들을 보면 일반적인 가정 또는 그 이상으로
좋은 것들을 쓰고 있으니 말이다.

게다가 수업은 정말 열심히 듣는 것 같지만 막상 문제를 같이 풀어 점검할 때면 하나도 이해하지 못한 채 문제만 맞추면 넘어가려 하는데다가, 미국에서 오신 원어민 선생님과는 잘 대화하는가 싶다가도 책으로 공부할 때는 영어에 영 ‘젬병’이었다.

이러한 궁금증은 시간이 지나 차츰 풀리게 됐다. 혼자서 삶을 헤쳐 온 친구들이라 스스로 몸을 잘 챙길 줄을 몰라 밥을 줘도 잘 못 먹는 것이며, 남한에 처음 내려와서 도시 사람들과 어울리려면 자신을 남한사람과 똑같이 치장하고 행동해야 했기 때문에 그 비싼 스마트폰도 마다하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수업시간에는 모르는 말이 너무 많지만 그 것을 하나하나 이해할 시간은 없기에 눈치껏 문제 맞추기가 최선이라는 것이다. 영어의 경우 이 친구들에게는 문자가 아닌 그림으로 보일 뿐이기 때문에 언어적으로는 몇 마디 연습하여 가능하나, 발음 기호도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으니 알파벳마다 어떻게 발음되는지 알 수 없어 단어를 통째로 외워 영어를 읽기 때문에 쉬울 리가 없었다.

이런 것들보다도 가장 마음이 불편했던 이유는 바로 ‘다르다’
생각하는 나 자신 때문이었다. 북한이탈주민 친구들을 만나기 전에는
‘북에서 온 친구들이라고 해봤자 얼마나 다르겠느냐’며
자신감이 넘쳤지만, 이 친구들이 탈북한 과정이나 현재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때는 ‘정말 같은 사람이지만 이렇게나 다를까’ 하고
느끼고 있었다. 그러던 중 ‘영양사가 되어 북한 사람들이
영양섭취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다’던 송화언니의
이야기를 듣고는, 나중에 통일에 가장 이바지 할 수 있는 사람은
이런 꿈을 가진 북한이탈주민들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 친구들을 다르다고 느끼는 것 이상으로 오히려
북한이탈주민들이 더 많은 다름을 느끼고 있을 텐데, 나는 마음
언저리에 불편함을 품고 있었다는 것이 매우 부끄럽게 느껴졌다.
멘토링 기간이 끝난 뒤 나는 새 학기가 시작되었고 얼마 전까지 연락 온
친구들 대부분이 검정고시에 합격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 때
나는 해준 것이 얼마 없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고맙다고 전화하고
카톡을 보내오는 이 친구들이 너무나도 사랑스러웠다. 그리고
아무도 모르는 지하상가에서 그 누구보다도 아름답고 큰 꿈을
꾸고 있는 이 친구들을 아는 사람이 얼마 없다는 사실이
아쉬웠다. 많은 사람들이 나처럼 이 친구들과 소통하며 느끼고
우리사회 안에 탈북자들이 잘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어 그들의 꿈을
이루기를 희망한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