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희망을 꿈꾸다 │ 또 다른 시선

한국음악을 사랑해주세요 그리고 한국을 사랑해주세요 벽안의 가야금 전도사, 조세린 클락(배재대학교 아펜젤러학부 교수)

거슬러 오르자면 천 년하고도 수 백 년을 더 지난 이야기다. 패국의 길로 들어선 옛 나라의 왕은 나라의 이름을 딴 새로운 악기를 만들도록 했다. 민심을 하나로 모아 나라의 초석을 다지겠다는 뜻에서였다. 의도야 어쨌든 그렇게 하늘과 땅, 천지와 사방, 열두 달의 의미를 모두 담은, ‘사람과 땅’의 악기가 탄생했으며, 패망한 나라가 허무하게 이름을 지운 지금까지도 연주되고 있다. 바로 우리 악기 가야금이다.

지명만 익숙한 미국 알래스카 주 출신의 조세린 클락(Jocelyn Clark, 45) 교수는 ‘가야금’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에 스무 두 살 어린 나이에 처음 한국 땅을 밟았다. “국악(國樂)을 사랑하다 보니, 그 나라까지 사랑하게 됐다”는 조세린 교수를 만나, 그녀가 사랑하는 국악과 한국에 대해 들어봤다.

우리 전통가락 따라 한국에 왔어요

이제는 능숙한 솜씨로 찻잎을 고르고, 찻잔을 데우는 그녀가 처음 한국전통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일본과 중국 유학을 통해서였다.

조슬린 클락 교수 “태평양 전쟁 때 참전했던 할아버지 덕분에 어렸을 때 일본어를 공부했고, 고등학교도 일본에서 졸업했어요. 어려서부터 피아노, 바이올린, 오보에 등 악기를 많이 접해서 음악에 관심이 많았는데 마침 일본의 ‘고토’(琴) 라는 전통악기를 배우게 됐어요. 그러면서 아시아의 현악기에 관심이 생겼고, 중국 남경 예술대학에서 쟁(箏)을 배우면서 한국에 비슷한 악기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거죠.”

마침 90년 대 초 국립국악원에 장학금을 받아 공부할 기회가 생기면서 한국 땅을 처음 밟게 됐다는 것. 당시만 해도 한국은 알래스카의 주요 무역국인 일본과 달리 쉽게 관련 정보를 구할 수도 없는 동양의 작은 나라였다. 일본과 중국 생활을 통해 어느 정도 아시아 문화에 익숙하다는 생각했지만 한국 생활은 시작부터 난관이었다.

정말 '코리아타임'이 있었던 그 때를 아시나요?

“한국에 처음 왔을 때는 밤에 어디가지도 못했어요. ‘코리아 타임’ 알죠? 문화가 아니라 당시엔 진짜 교통편이 원활치 않았던 데다 지금처럼 휴대전화도 없었으니까, 약속 잡기가 너무 어려웠고 너도나도 늦는 게 다반사였어요.”

공중전화박스마다 길게 줄을 서는 일은 일상이었고, 5분 이상 통화하면 뒷사람이 부스를 두들겨 놀란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그 뿐인가. 당시 만해도 유학생이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살 집도 당시 서울대 국악과에서 석사과정을 밟던 박칼린 음악감독의 도움으로 겨우 구할 수 있었단다.

다름의 매력, 국악(國樂) 그리고 가야금

문제는 그것만이 아니었다. 한국을 오게 된 이유인 가야금의 소리나 연주방식 역시 그녀의 생각과 너무 달랐던 것.

“생각해보세요. 전 고토도 연주하고, 쟁도 알잖아요? 그러니 가야금이 다르긴 하겠지만 이렇게 다를 것이라고는 생각 못했던 거에요. 그런데 전혀 달랐어요. 소리부터 고토나 쟁은 밝아요, 그런데 가야금은 무겁고 좀 어둡죠. 또 다른 두 악기는 앞에서 낸 음과 뒤에서 낸 음의 화음을 맞춰가며 연주하는데 비해 가야금은 앞에서 낸 소리를 눌러 지우죠. 솔직히 말해서 처음에는 제가 기대했던 음악과는 너무 달랐어요.”
조슬린 클락 교수 하지만 그리 멀지 않아, 처음의 실망했던 바로 그 부분들이 그녀가 가야금을 사랑할 수밖에 없는 ‘매력’으로 작용했다.

“한국음악은 정말 달라요. 그래서 매력 있고요. 처음에 한국 와서 힘들었던 것 중에 하나가 한국식 시간관념이었는데요. 선생님 중 한 분이 음악을 들으면 이해가 될 거라고 하셨거든요. 그런데 정말 한국의 박자는 달라요. 보통 오케스트라의 각 악기들이 하나가 되는 그런 리듬이 있잖아요? 그런데 한국음악은 같은 곡을 연주하면서도 다른 박자를 타요. 심지어 음악이 끝나는 지점까지 다르죠.”

정 있는 외국인의 의리 있는 한국생활

각각 다른 템포, 다른 박자, 다른 음들이 섞여 만들어내는 음악. 생각해 보면 한국전통음악은 한국문화와 참 많이 닮았다고. 그래서 이해할 수 없던 부분들까지 그냥 정들고 사랑하게 되버렸단다.

조슬린 클락 교수 “내가 원래 정(情)이 많은 사람이었는지, 아님 한국 정이 익숙해진 건지 어쨌든 나도 정 많은 외국인이 된 셈이죠.”
그래서다. 한국을 ‘참 고마운 나라’라고 표현하는 조세린 교수가 한국을 떠나지 못한 이유 말이다. “의리가 있지 어떻게 떠나요? 국악을 버리면, 한국을 버리는 게 되고, 내 스승들을 버리게 되는 거잖아요. 그럴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하버드 대학원에서 ‘지지지지 주지주지, 세린노정기 : 가야금 병창의 역사·연주·연주’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을 만큼 한국과 미국을 부지런히 오가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단다.

한국사람들의 자신감 회복 위해, 통일 이뤄야

그럼 정(情)과 의리를 이해하고 한(恨)에 대해 말하는 조세린 교수가 생각하는 남북통일은 어떤 모습일까?
“예전에 중국 연변에 간 적이 있어요. 음악에 관심이 많다보니 가서 조선족이라고 하나요? 그 분들의 음악을 들을 기회를 만들었거든요. 그런데 달라요. 한국의 음악과는 많이 다르더라고요. 그래서 북한의 음악도 다르지 않을까란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그래서 남북한이 통일이 된다면 그런 문화적인 부분의 절충과 이해가 필요할 거라고 생각돼요. 하지만 통일은 꼭 됐으면 좋겠어요.”
조슬린 클락 교수 통일 전후 생길 수 있는 여러 어려움에 대해 설명하면서도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조세린 교수. 그 이유는 바로 한국 사람들 때문이다.

“한국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자신감이 없다는 인상을 받을 때가 많아요. 그럴 이유가 하나도 없는데 말이죠. 저는 남북이 통일이 된 후 땅이 더 커지고, 한국이 가지고 있는 대외적인 불안감이 해소되면 사람들이 더 당당해 질 거라 생각해요.”

한국사람이 한국음악을 사랑할 수 있도록

가야금을 만난 지 벌써 20여 년. 6여 년 전부터는 다시 정식으로 가야금산조와 병창 그리고 신곡까지 공부하고 있다. 선생님들이 거주하시는 지역이 다 달라, 전주며, 분당이며, 서울이며 열심히 오가야 하지만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단다. 진심을 다해 가르치는 스승들이 있고, 가르침에 보답하려는 제자가 함께 하는 수업인데 좋지 않을 리 있을까. 다만 산조(가야금으로 연주하는 기악독주곡)와 달리 병창(창(唱)에 가야금 연주가 곁든 연주형태)은 한국식 발음이 어려워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란다.

조슬린 클락 교수 여름 동안 크고 작은 무대에 오르며, 가야금을 연주한 그녀의 새로운 목표는 외국인 최초의 가야금산조 레코딩이다. 우선은 스승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연주를 선보일 욕심에 연습에 매진 한 후 차차 작곡가들과 협연이나 현대음악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무엇보다 한국 사람들이 한국음악을 더 많이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도록 도울 생각이다.

“저에게 고토를 가르쳐 주신 분이 사와이 카즈에(沢井一恵) 선생님이세요. 그런데 그 분이 왜 미국아이들에게 고토를 가르치셨냐면 일본젊은이들이 고토에 흥미가 없었기 때문이었어요. 그런데 요즘 한국도 마찬가지잖아요. 국악이나 가야금에 관심 있는 젊은 사람들은 거의 없죠. 저도 현대음악 좋아해요. 그런데 뿌리라고 하잖아요? 시대가 변해도 뿌리는 놓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외국인이지만 저를 통해 한국 사람들이 가야금이나 한국의 소리를 조금이나마 더 사랑하게 된다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글. 권혜리>

통일시대 모바일 통일시대 자문회의소개 웹진다운로드 지난호보기 웹진다운로드

웹툰

세계 영화 흥행 1위 ‘광개토대왕’

세계 영화 흥행 1위 ‘광개토대왕’

동영상

100인 통일 인재들의 진검 승부!
제4회 역사·통일골든벨 개최

100인 통일 인재들의 진검 승부! 제4회 역사·통일골든벨 개최

이벤트

  • 북한음식 자랑하기
  • 행복한 대한민국을 여는 정부 3.0 서비스 정부
  • 웹진평가 재미있게 읽은 기사가 있으신가요?
  • 통일의 별을 찾아라!

이벤트 당첨자 발표